혈액검사결과 보는법(GOT,GPT,rGTP,ALP,T.Protein, Alb,BUN, Cr,T.Bili,CPK,T.cholesterol,T.G,HDL,LDL,Glu & Na,K,Cl,T.Ca, UA,Amylase)의 기능과 의미,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의 임상학적 의의에 관해 파헤쳐 보겠습니다.
간기능검사 (Liver Function Tests - LFT)


1. GOT (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) 또는 AST (Aspartate Aminotransferase)

- GOT의 의미 : 간과 심장,근육 등에 존재하며, 주로 간 손상을 평가합니다.
- GOT의 정상수치 범위 : 0~40 IU/L
- GOT의 수치가 높을 때의 의의 : 간염, 지방간, 심근경색 등과 관련될 수 있습니다.
2. GPT (Glutamic Pyruvic Transaminase) 또는 ALT (Alanine Aminotransferase)
- GPT의 의미 : 주로 간에 존재하며, 간 기능을 평가합니다.
- GPT의 정상수치 범위 : 0~45 IU/L
- GPT의 수치가 높을 때의 의의 : 간염, 간손상 등과 관련될 수 있습니다.
[ ※ A형 간염에 걸리면 : 간기능 검사[ GOT, GPT수치 ]가 1000이상 증가될 수도 있는데,
GPT(ALT)수치가 >> GOT(AST)수치보다 훨씬 증가하며, T.bili수치도 10이상 증가, 염증수치(CRP, ESR)수치도 증가하는 편입니다. ]
3. rGTP (Gamma-Glutamyl Transpeptidase)
- rGTP의 의미 : 주로 간, 담낭, 췌장 등에 존재하며, 간담도와 관련된 문제를 평가합니다.
- rGTP의 정상수치 범위 : 남성 0~60 IU/L, 여성 0~45 IU/L
- rGTP의 수치가 높을 때의 의의 : 간담도 질환, 알코올 사용과 연관될 수 있습니다.
4. ALP (Alkaline Phosphatase)
- ALP의 의미 : 간, 췌장, 신장 등에 존재하며, 간질환과 골질환을 평가합니다.
- ALP의 정상수치 범위 : 30~120 IU/L
- ALP의 수치가높을 때의 의의: 간질환 >> 골질환( 뼈암, 골수암이 있는 경우: 많이 올라갈 수 있음) 등과 연관될 수 있습니다. (성장기 아동,청소년때: 많이 올라감)
5. Total Ca (Total Calcium)
Total Ca는 혈액 중에 존재하는 전체 칼슘농도를 측정하는 검사입니다. 칼슘은 뼈 건강, 근육수축, 혈액응고, 신경전달 등 다양한 생리학적 기능을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
Total Ca 검사는 칼슘 대사장애, 갑상선 기능이상, 부비동염 등 다양한 상태에서 이용되며, 고나트륨혈증, 골다공증 등 다양한 임상질환의 지표로 사용됩니다. (정상수치: 8.2~10.4mg/dL)
- Total Ca 결과수치에 따른 임상적 의의
Total Ca이 정상치보다 높게 나타나는 경우, 비강성 장 증후군, 갑상선기능저하증 등과 관련될 수 있으며, 칼슘이 너무 높을 경우, 신장결석, *수치)11~14: 암(폐암,골수암), 근육경련, 정신혼미과 같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또한, 칼슘농도가 정상치보다 낮을 경우, 비타민D 결핍, 갑상선 기능항진증, 근육저림 등과 관련될 수 있으며, (칼슘을 적게 섭취라기 보다, 칼슘이 몸에서 배출되고 있는 상태)이러한 상태들은 골다공증과 같은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.
Electrolyte (Na, K, Cl)검사
전해질검사인 Electrolyte(Na, K, Cl)검사는 혈액 내의 이온농도를 측정하여 신체의 전기적 활동 및 수분균형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데, 이것은 혈액 내의 전기전달 및 세포기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. 이러한 전해질은 다양한 생리학적 기능을 제어하고 유지하는 데 관여하며, 불균형은 다양한 임상적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.
1. Sodium (Na)
- Na의 의미 : Na(나트륨)은 혈액 내의 전기전달을 조절하고 수분균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
- Na의 정상수치 범위 : 보통 135~145 mEq/L 사이입니다.
- Na의 수치가 높을 때 임상적 의의 : 높은 나트륨 수치는 (물이 떨어지니)탈수, 고혈압, 신장문제와 관련될 수 있습니다.
* Na의 수치가 낮을 때(심각) 임상적 의의 : 낮은 나트륨 수치는 수분과 나트륨의 불균형, 뇌부종, 근육경직, 혼란 ( 폐암 /간경화,울혈성 심부전(부종 시) / SIADH(Na-조절 못하는 질병: 부종 없을 때), 암, 간,신장질환(글루코코르티코이드-부족시),
(주로 노인 : 넘어질 확률이 무척 높아짐!)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. => 요양병동에선 주의깊게 보는 수치"
2. Potassium (K)
- K의 의미 : K(포타슘)은 신체의 근육기능,신경전달에 중요한 역할, 신부전과 밀접한 관련있습니다.
- K의 정상수치 범위 : 보통 3.5~5.5 mEq/L사이입니다.
- K의 수치가 높을 때의 임상적 의의 : 높은 포타슘 수치는 혈압약부작용으로 오를 수 있으며, 심장이상 및 근육기능문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. 신장이 너무 안 좋은데, K이 높아지는 식습관을 가져서 그런 경우도 있습니다.
* K의 수치가 낮을 때의 임상적 의의 : 낮은 포타슘 수치는 근육경련,약화, 신장질환, 심장이상, 뇌혼란 (K-배출하는 질병이 있는지 확인)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. => 요양병동에선 주의깊게 보는 수치"
3. Chloride (Cl)
- Cl의 의미 : Cl(염소)는 나트륨과 함께 수분균형을 조절하고 혈액의 산도를 유지하는 데 기여합니다.
- Cl의 정상수치 범위 : 보통 98~108 mEq/L 사이입니다.
- Cl의 수치가 높을 때의 임상적 의의 : 높은 염소수치는 탈수, 신장문제 등과 관련될 수 있습니다.
- Cl의 수치가 낮을 때의 임상적 의의 : 낮은 염소수치는 고혈압 및 뇌 이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.
T.P (Total Protein)
1) T.Protein 의 의미
Total Protein은 혈중 총 단백질 양을 측정하며, 간 기능 및 영양상태를 평가합니다.
2) T.Protein의 정상범위
T.pro의 정상수치 범위는 6.4~8.3 g/dL입니다.
3) T.Protein의 수치 낮을 때의 의의
T.pro의 수치가 낮을 때는 간질환, 단백질 부족 등과 연관될 수 있습니다.
Alb (Albumin)
1) Alb의 의미
Alb은 주로 간에서 합성되며, 영양상태와 간 기능을 평가합니다.
2) Alb의 정상범위
Alb의 정상수치 범위는 3.5~5.0 g/dL입니다.
3) Alb의 수치 낮을 때의 의의
Alb의 수치가 낮을 때는 간질환(간경화), 영양결핍, 단백질부족( Alb: 2.0이하 - 부종 시)등과 연관될 수 있습니다. (신증후군 시- Alb: 1.8이하)
요산 (Uric Acid)
요산(Uric Acid)은 체내의 대사산물로, 주로 식품에서 얻는 푸린(purine)이라는 화학물질의 대사과정에서 생성됩니다. 요산은 혈액 내에서 농도가 일정한 범위에 유지되어야 합니다. 이를 초과 or 부족하게 생성되면 다양한 의학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1) 요산의 의미
요산은 주로 신장을 통해 배설되며, 과도한 요산생성 또는 배설부전으로 인해 요산농도가 높아지면, 결석형성, 고혈압, 관절염과 같은 의료적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.
2) 요산의 정상범위
요산의 정상수치 범위는 3.5~7.2 mg/dL입니다.
3) 요산 수치가 높을 때의 임상적 의의
높은 요산 농도는 고요산혈증(Hyperuricemia)로 알려져 있으며, 다음과 같은 상황과 연관될 수 있습니다.
(요산수치: 9이상부터 약 복용=> 요산수치 낮추는 관리가 꼭 들어가야함! ) 신장질환 시에도 요산수치 높아집니다.
- 과도한 요산생성 : 고단백 식사, 푸른이 풍부한 음식 섭취, 알코올 소비 등으로 인한 과도한 요산 생성.
- 신장문제 : 신장의 기능저하로 인한 요산배설부족.
- 표적된 질환 : 고요산혈증은 통풍(Gout)이라고도 알려져 있으며, 관절의 염증, 통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.
BUN (Blood Urea Nitrogen)
1) BUN의 의미
BUN은 혈중 요소양을 측정하여 신장기능을 평가합니다.
2) BUN의 정상범위
BUN의 정상수치 범위는 8~20 mg/dL입니다.
3) BUN 수치가 높을 때의 의의
BUN의 수치가 높을 때는 신장질환, 탈수, 고단백 식사와 관련될 수 있습니다.
Cr (Creatinine)
1) Cr 의 의미
Cr은 혈중 크레아티닌 양을 측정하여 신장기능을 평가합니다.
2) Cr 의 정상범위
Cr의 정상수치 범위는 남성 0.61~1.8 mg/dL, 여성 0.51~1.5 mg/dL입니다.
3) Cr 수치가 높을 때의 의의
Cr 의 수치가 높을 때는 신장질환, 탈수 등과 연관될 수 있습니다.
Total Bili (Total Bilirubin)
1) T.bili의 의미
T.bili는 간 대사에 의해 생성되며, 간기능 및 혈액질환을 평가합니다.
2) T.bili의 정상범위
T.bili의 정상수치 범위는 0.2~1.2 mg입니다.
Amylase (알파-아밀라아제)
Amylase(알파-아밀라아제)는 주로 췌장과 타액선에서 생성되는 소화효소입니다. 이 효소는 주로 탄수화물을 분해하는 역할을 합니다. Amylase의 검사는 주로 췌장과 타액선의 건강을 평가하고, 소화기관질환 및 다른 의료상황을 진단하는 데 사용됩니다. (배가 조금만 식사해도 통증 시: 검사진행)
1) Amylase검사의 의미
Amylase검사는 췌장 및 타액선의 기능을 평가하고, 소화기관 질환 및 기타 의료상황을 진단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.
2) Amylase의 정상범위
Amylase의 정상수치 범위는 30~110U/L입니다.
3) Amylase 수치가 높을 때의 임상적 의의
Amylase 농도가 높은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의료적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:
a) 췌장염
췌장염증으로 인한 Amylase 농도증가가 가장 흔하며, 췌장에 염증이나 손상이 있을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.
b) 타액선 문제
타액선 질환으로 인해, Amylase농도가 상승할 수 있습니다.
c) 담석
담석이 췌장의 담관을 막는 경우, Amylase농도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.
Glucose (혈당)
1) Glucose의 의미
Glucose는 혈액 내의 당의 양을 측정합니다. 혈당수치는 당뇨병을 진단하고 모니터하는 데 중요합니다.
2) Glucose의 정상범위
공복상태에서 70~100 mg/dL이 일반적입니다.
3) Glucose수치 높을 때의 의의
높은 혈당수치는 당뇨병을 나타낼 수 있으며, 당뇨관리 및 관련합병증 예방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.
지방대사 및 혈중지질 수치검사Total Cholesterol,Triglycerides(T.G), HDL,LDL Cholesterol
1. Total Cholesterol (총 콜레스테롤)
1) T. cholesterol의 의미
Total Cholesterol은 혈액 내의 모든 콜레스테롤 수치를 나타냅니다. 콜레스테롤은 신체의 세포 및 조직에서 사용되는 중요한 지질입니다.
2) T. cholesterol의 정상범위
Total cholesterol의 정상수치 범위는 150~200 mg/dL입니다.
3) T. cholesterol 수치가 높을 때의 의의
고콜레스테롤은 동맥경화 및 심장질환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.
2. Triglycerides ( T.G : 트리글리세라이드)**
1) T.G의 의미
Triglycerides는 식사에서 나오는 에너지의 저장 및 운반을 돕는 지질입니다.
2) T.G의 정상범위
T.G의 정상수치 범위는 150 mg/dL이하입니다.
3) T.G의 수치가 높을 때의 의의
고Triglycerides 수치는 심장질환 및 대사증후군(복부비만,고혈압,고혈당,이상지질혈증의 네가지가 동시에 나타나는 증후군)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.
3. HDL Cholesterol (고밀도 지단백질 콜레스테롤)
1) HDL의 의미
HDL Cholesterol은 "좋은 콜레스테롤"로 알려져 있으며, 동맥벽에서 콜레스테롤을 제거하는 역할을 합니다. (레드와인섭취 시, 운동 후: 증가)
2) HDL의 정상범위
남성: 40 mg/dL이상 / 여성: 50mg/dL이상 [국가검진: 60 mg/dL이상"으로 기재]
=> 60mg/dL이상 이상으로, 유지하는 것이 최적의 건강유지에 좋기는 합니다:)
3) HDL 수치가 높을 때의 의의
높은 HDL수치는 심장질환 위험을 낮출 수 있습니다.
4. LDL Cholesterol (저밀도 지단백질 콜레스테롤)***
1) LDL의 의미
- LDL Cholesterol은 "나쁜 콜레스테롤"로 알려져 있으며, 혈관벽에 콜레스테롤을 쌓아 동맥경화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. (유전적 문제도 많음)
2) LDL의 정상범위
- LDL의 정상수치 범위는 100 mg/dL이하입니다.
3) LDL 수치가 높을 때의 의의
- 높은 LDL수치는 심장질환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.
*** 다만, 다음과 같은 경우 3가지는 정상수치 범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. ***
** 당뇨환자, 가족력, 심혈관질환이 있는 경우 : 70mg/dL 미만
[ 이미 혈관벽이 좁아지고, 혈관탄성도가 떨어져서, LDL수치를 더 낮게 유지하시는것이 건강에 좋습니다.]
=> 이러한 지질 및 혈당검사는 심혈관 질환 및 당뇨병과 같은 대사성질환의 위험요인을 평가에 사용됩니다.
※ 위의 사항은 참고로 보시며, 현재의 증상과 자신의 병력 및 검사결과지를 통해, 종합적으로 의사의 진료와 상담을 받는 것이, 가장 정확한 진단 및 치료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.
2.혈액검사결과 보는법(응고검사PT,PTT/ 갑상선TSH,T3,FT4/ HbA1c, CPK, Vt.D) (tistory.com)
2.혈액검사결과 보는법(응고검사PT,PTT/ 갑상선TSH,T3,FT4/ HbA1c, CPK, Vt.D)
오늘도 혈액검사결과 보는법 2편(응고검사PT,PTT/ 갑상선TSH,T3,FT4/ HbA1c, CPK, Vt.D)에 관해 핵심만 알아보겠습니다. :) 응고검사( PT, PTT ) PT(Prothrombin Time)와 PTT(Partial Thromboplastin Time) 검사는 응고
ddoublebbokdeongi.tistory.com
[1편]혈액검사결과에 따른 권장 식습관,음식,영양제,개선법TOP21(GOT,GPT,rGTP,ALP,T.Protein, Alb,BUN, Cr,T.Bi
혈액검사는 건강상태를 확인하는 중요한 검사로, 신체의 영양상태, 의심질환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. GOT,GPT,rGTP,ALP,T.Protein, Alb,BUN, Cr,T.Bili,CPK,T.cholesterol,T.G,HDL,LDL,Glu & Na,K,Cl,T.Ca, UA,Amylase 의 각 항목
ddoublebbokdeongi.tistory.com
[2편]혈액검사결과에 따른 권장식습관,음식,영양제,개선법TOP5(응고검사PT,PTT/ 갑상선TSH,T3,FT4/ HbA1c, CPK, Vt.D) (tistory.com)
[2편]혈액검사결과에 따른 권장식습관,음식,영양제,개선법TOP5(응고검사PT,PTT/ 갑상선TSH,T3,FT4/ HbA1c
혈액검사는 건강상태를 확인하는 중요한 검사로, 신체의 영양상태, 의심질환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. 응고검사PT,PTT / 갑상선TSH,T3,FT4 / HbA1c, CPK, Vt.D)의 각 항목별 수치가 정상범위를 넘어 높거나,
ddoublebbokdeongi.tistory.com
가성비 필수검진TOP12 & 빼야할 암유발 검진"TOP7 (tistory.com)
가성비 필수검진TOP12 & 빼야할 암유발 검진"TOP7
건강검진은 건강을 확인하는 조기검진"이니, 반드시 정기적으로 받아야하는 건강검진입니다. 건강검진 - 빼야할 것과 가성비 좋은 항목"을 [이원경 의사]의 조언을 토대로 핵심만 정리해보
ddoublebbokdeongi.tistory.com
간염 A,B,C형의 Ag,Ab검사결과해석(Ab검사부터 이뤄지는 이유) (tistory.com)
간염 A,B,C형의 Ag,Ab검사결과해석(Ab검사부터 이뤄지는 이유)
간염A,B,C형의 Ag,Ab검사 결과해석은 진단,치료에 있어 필수부분이며, 자세히 알아보고 우리 헷갈리지 맙시다:) Ag검사가 아닌, Ab검사부터 이뤄지는 이유도 핵심만 짚어보겠습니다. 간염(A형,
ddoublebbokdeongi.tistory.com
매독:선별검사RPR,VDRL,RPR정밀, 확진검사TPLA,FTA-ABS의 Ag,Ab결과해석(Ab검사부터 시행되는 이유) (tistory.com)
매독:선별검사RPR,VDRL,RPR정밀, 확진검사TPLA,FTA-ABS의 Ag,Ab결과해석(Ab검사부터 시행되는 이유)
매독검사: (선별검사)RPR,VDRL, (확진검사)TPLA,FTA-ABS의 Ag,Ab검사 결과해석은 앞으로의 진단,치료에 있어 필수부분이며, 자세히 알고 우리 헷갈리지 맙시다 :) Ag검사가 아닌, Ab검사부터 시행되는
ddoublebbokdeongi.tistory.com
"매독(syphilis)"은 완치가 없을 까?? (tistory.com)
"매독(syphilis)"은 완치가 없을 까??
요즘 2030사이에서 매독"이 급속도로 번지고 있다고 합니다. 특히 일본은 2018년도부터 동성lover들 사이에서, 한국은 2020년부터 온라인데이트 및 성매매 앱" 통해, 매독의 전파속도가 높아 주의가
ddoublebbokdeongi.tistory.com